'이상과의 대화’는  근대 시인 이상이 살았던 집터이자 이상의 기념관이 지어질 가옥에서 발생되어 발전되는 프로젝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이벤트를 통해서 이미 확립된 유형의 유산과 기억, 기념비의 아이디어와 기념비적인 것에 관계하면서 질문을 하고자 합니다.  이상의 집이라는 특정 공간과 시간에 개입하는 이 프로젝트는 이상의 문학적 돌파구와  실험, 역사적,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서 그가 살았던 시간과  현재가 같은 선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여전히 진행 중이라고 보는 시점에서 출발하여 다의적인 대화 만들기를 시도합니다.

Conversations With Yi Sang
is a project aspiring to question established modes of engaging with legacy, memory, and the ideas of monument or memorial through the development of an events program in a building that was once a residence of the modernist poet Yi Sang and is to be redeveloped into an Yi Sang memorial house.

This intervention in this specific location and time attempts to establish a multivocal dialogue between Yi Sang’s literary breakthroughs and experimentation, the historical social and political context of his time, and current contexts to be carried out in the present tense.



home

mailing list:
프로그램 이벤트 내용을 업데이트 받으실 분은 yisanghouse (a) gmail.com
구독 신청 바랍니다.
to receive updates on the program through email
, please send an email with SUBSCRIBE in the subject line to: yisanghouse (a) gmail.com

이상과의 대화 페이스북 페이지
Conversations With Yi Sang in Facebook
: pages/conversations-with-yi-sang


전시기간 /
exhibition duration:
2011년 4월 6일 - 5월 31일
April 6 - May 31, 2011

관람시간 /
opening hours:
화요일 - 목요일 오후 12시- 8시.
금요일/토요일 오후 1시- 10시. 
일요일 오후 1시- 8시.
Tuesday - Thursday: 12 pm - 8 pm
Friday, Saturday: 1 pm - 10 pm
Sunday: 1 pm - 8 pm

프로젝트 기간, '파괴의 아카이브' 과 함께 자유롭게 사용할수 있는 

음향 시스템이 갖추어진 공간은 다방의 기능으로 작동됩니다.
during the opening hours, the space will be functioning as a dabang
with an installation of the archive of destruction, conceived for the space,
and PA sound system, available to be freely used.

주소 /
address:
서울 종로구 통인동 154-10 (자하문로 7길 18)
(Jahamum-ro-7 gil) 154-10 Tongin-dong, Jongro, Seoul

찾아오시는길 / how to get there
:
Gyeongbokgung Station, Line 3, Exit 2.
Walk straight, and turn left in front of Woori Bank into the Jahamun-ro 7 gil.



April 2011

April 6 [wed]
______________________
6 pm : opening

7 pm : performance by

          연주자: 임지영(오로빌 Auroville)
          지휘자: 유은주(언더더브릿지Under the Bridge)

April 7 [thu]
______________________
April 8 [fri]
______________________

April 9
[sat]
_______________
_______
8 pm : 콘서트: 조나단 쿠비           
           concert:
jonathan kouby
           ‘알리스 솔브스 더 퍼즐, 스키 데스, 난센스 송, 새드 아이드 레이디’ 등의 음악 프로젝
           트로 알려진 조나단 쿠비는 프랑스 출신 오타쿠 뮤지션이자 그래픽 디자이너이다.  그
           는 일렉트로닉 정신성과 함께 다다이스트 방식으로 작업하기로 결정했고, 1995년, 스
           시 데스라는 4개의 트랙 작업을 시작했다. 그는 전통적인 음악 프리재즈, 콘그리트 음
           악, 사이키델릭 팝, 크라웃락, 한국 트로트 디스코, 인더스트리얼 드라운 음악과 이탈
           로 디스코에서 영향을 받았다. 아마도 정신분열적으로 들리거나  혹은 정신분열적 사
           운드 일수도 있겠다. 조나단 쿠비는 그의 음악을 “다다이스트 일렉트로닉 넌센스” 라
           고 묘사한다.
              Jonathan Kouby is a french otaku musician and graphic artist who is unknown under the title
              of musical projects such as: Alice solves the puzzle, sukydeath, Nonsense Songs or Sad eyed lady.
              He decided to work in a dadaist way with an electronic spirituality, having started sushi death with a
              4-track, a guitar & a casio synth, in 1995.
              His influences range from traditional music to free jazz, concrete music, psychedelic pop,
              krautrock, korean trot disco, industrial drone music & italo disco... maybe it sounds
              schizophrenic ! maybe it's just how schizophrenic analog sounds...
              He best describes his music as "dadaist electronic nonsense", though.

              concert co-organised with Park Daham
              [the audio of the concert will be broadcast through online streaming]

April 10
[sun]
_______________
_______
3 pm :
마라톤 필름데이
          film screening:
a selection of films from the archive of destruction
          마라톤 필름데이: '파괴의 아카이브' 에서 선택된 필름은 마라톤 경기처럼 이어서 플레이
          된다. 급진적 실험을 한 영화에 촛점을 두는 이 스크리닝은 전통적인 이미지와 사운드의
          관계에 있어서 관습적인 내러티브 라인을 파괴하는 영화적 언어에 관해 질문을 한다.
                
              A selection of films, from the archive of destruction, focusing on radical experimentation that
              questioned established filmic language, ranging from destruction of conventional narrative lines to
              films that break, or do away with, the traditional relations between image and sound.

              [the audio of the films will be broadcast through online streaming]

        3 pm : HURLEMENTS EN FAVEUR DE SADE [HOWLINGS IN FAVOUR OF SADE]
                   Guy Debord, 1952
                         B&W, 63 mins., sound
                         French w/ English subtitles

                         Film stripped bare of everything that is accessory, and reduced to its most basic constituents,
                         to such a point that connections with Malevich’s Black Square painting can be imagined.
                         With this film, composed of textual collages spoken over white screens alternating with
                         moments of silence over black screens, Debord operates one of the most radical assaults ever
                         perpetrated against filmic conventions.
                         “Cinema is dead. No more films are possible!
        4h20 pm : TOWERS OPEN FIRE
                        Anthony Balch & William S. Burroughs, 1963
                                B&W, color, 9 mins., sound
                                English

                                “Look at this image. Does it seem to be persisting?
                                A collaboration between writer William Burroughs and film director Anthony Balch,
                                transposing to film the same processes of cut-up and collage that Burroughs developed
                                with Bryon Gysin and which marked a clear break with linear narrative editing, in his
                                writings.
        4h50 pm : TRAITÉ DE BAVE ET DE ETERNITÉ [ON VENOM AND ETERNITY]
                        Isidore Isou, 1951
                                B&W, 120 mins., sound
                                French w/ English subtitles
                                Isou, a member of the Parisian avant-garde group the Lettristes, directs what was to be
                                the movement’s first film. Working both as a manifesto, making public the group’s ideas,
                                as well as a provocation on the audience, the film also purposefully operates a discrepancy
                                between the soundtrack and what is being shown in the images, introducing a significant
                                and influential formal innovation in film, by destroying the direct relations between film’s
                                basic elements.
                                “Dear spectators, you are about to see a discrepant film. No refunds will be given.
        7h20 pm : BRANCA DE NEVE [SNOW WHITE]
                        João César Monteiro, 2000
                                color, 72 mins., sound
                                Portuguese w/ English subtitles
                                Departing from Swiss writer Robert Walser’s version of the Snow White story, filmmaker
                                César Monteiro’s  approach highlights the textual element in the film, thus preserving the
                                most of its literary character. Strangely enough, this brings an even greater importance to
                                the sparse images that compose the film.
                                Almost 50 years after Debord’s Hurlements en Faveur de Sade, and in spite of its more
                                conventional narrative structure, this film still proved able to constitute a challenge and
                                provocation towards the audience of a small country in Europe.
                                “How presumptuous of the prince to have disturbed Snow White in her beauty sleep, to
                                have kissed her and removed her from her glass casket in order to restore her to life, i.e.
                                in order to possess her in the flesh…

April 12
[tue]
______________________

3 pm : workshop: LA NUOVA SCULPTURA CAUSA PROBLEMI, session #1
                     [THE NEW SCULPTURE CAUSES PROBLEMS]

                     진행: 알리시아 , 페드로 라고아, 이주영

           새로운 조각이 문제다
           독일 작가 요마 포스는 독일 프랑트푸르트 유치원 아이들과 진행한 워크숍을 다시
                     생각했다. 워크숍은 공공 기념물을 탐험하면서 이의 대안적 사용법을
                     고
,
                     순히
명상을 하는 것이 아닌 다른  가능성을 열어두는 접근을 하고자 한다 워크
                     샵을
위해 그는 서울 어린이들이 공공 공간에 개입할 있는 가이드라인을
                     고안했다
.

                     워크숍
소요시간: 2시간, 서촌 일대
                     언어
: 한국어, 영어
                           German artist Jorma Foth was invited to rethink a workshop he did previously with
                           kindergarten children in Frankfurt, Germany. The workshop aimed at, through an
                           exploration of some public monuments, finding alternative uses for these, other than the
                           ones usually attributed to them, opening possibilities for a different – and less
                           contemplative – approach.
                           For this workshop, he devised instructions that will serve as guidelines for children of
                           Seoul to carry out a few interventions in the public space.

                           workshop duration: 2h00m
             
                           languages: Korean, English
                           oriented by: Alysia Kim, Pedro Lagoa, Jooyoung Lee

April 13
[wed]
______________________

3 pm : workshop: LA NUOVA SCULPTURA CAUSA PROBLEMI, session #2
          [THE NEW SCULPTURE CAUSES PROBLEMS]
           진행: 알리시아 , 페드로 라고아, 이주영

          새로운
조각이 문제다

독일 작가 요마 포스는 독일 프랑트푸르트 유치원 아이들과 진행한 워크숍을 다시
          생각했다. 워크숍은 공공 기념물을 탐험하면서 이의 대안적 사용법을 찾고,
          순히
명상을 하는 것이 아닌 다른  가능성을 열어두는 접근을 하고자 한다 워크
          샵을
위해 그는 서울 어린이들이 공공 공간에 개입할 있는 가이드라인을
          고안했다
.

          워크숍
소요시간: 2시간, 서촌 일대

          언어: 한국어, 영어
             German artist Jorma Foth was invited to rethink a workshop he did previously with
             kindergarten children in Frankfurt, Germany. The workshop aimed at, through an
             exploration of some public monuments, finding alternative uses for these, other than the
             ones usually attributed to them, opening possibilities for a different – and less
             contemplative – approach.
             For this workshop, he devised instructions that will serve as guidelines for children of
             Seoul to carry out a few interventions in the public space.

             workshop duration: 2h00m
             
             languages: Korean, English
             oriented by: Alysia Kim, Pedro Lagoa, Jooyoung Lee


6 pm워크숍: 배운 구조를 모두 잊자
            기존의 관습적인 시의 구조를 모두 잊고 실험하는 워크숍, 세션#1
            workshop: UNLEARNING STRUCTURES, session #1
            Workshop to experiment with forms of unlearning conventional structures of poetry
             
            아방가르드 작가들의 글쓰기 테크닉, 퓨쳐리스트, 다다이스트, 레트리스트, 윌리암 버
            로우과 브라이언 기즌의 컷업 등의 예가 소개되며, 참여자들은 유희적으로 대안적 언어
            의 사용과 자신만의 시쓰기를 방법을 고안하는 실험을 한다. 이 워크숍은 참여자들이 
            결과물 제작 과정에서 함께 참여, 협업하고 프리젠테이션 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이러한 실험은 문학에 있어서의 과정 – 창의적인 행동이 글쓰기의 요소가 된다는 것
            을 특별히 강조하는 –글쓰기 테크닉의 선두적 사용을 강조하고, 이 시작의 결과물은 
            2차 제작물에 투입하게 된다. 따라서 언어의 코드와, 위계질서, 아카데믹한 구조에서부
            터 자유로워지고 자신만의 시쓰기 형식을 기르는 실험을 한다)
            워크숍 소요시간: 1시간 30 분 소요
            언어: 한국어,영어
            진행: 페드로 라고아, 이주영

               The writing techniques used by avant-garde writers – such as Futurists, Dadaists, or Lettristes  for
               example, or William S. Burroughs’ and Bryon Gysin’s work with cut-up – will be addressed to invite
               the participants to playfully experiment with some alternative methods of using language to devise
               their own poetry. The workshop will encourage the participants to experiment with chance,
               collaboration and presentation in an effort to foreground the process as an outcome in itself.
               [These experiments in literature brought process – with a particular emphasis in the introduction of
               chance factors to the creative act – to the forefront of writing techniques, relegating the final result
               to a secondary position, thus freeing experimentation from language codes, hierarchies and academic
               structures and fostering self-empowerment]
               workshop duration: 1h30m
               languages: Korean, English
               oriented by: Pedro Lagoa, Jooyoung Lee


April 14 [thu]
______________________
April 15 [fri]
______________________
6 pm워크숍: 배운 구조를 모두 잊자
            기존의 관습적인 시의 구조를 모두 잊고 실험하는 워크숍, 세션#2
            workshop: UNLEARNING STRUCTURES, session #2
            Workshop to experiment with forms of unlearning conventional structures of poetry
             
            아방가르드 작가들의 글쓰기 테크닉, 퓨쳐리스트, 다다이스트, 레트리스트, 윌리암 버
            로우과 브라이언 기즌의 컷업 등의 예가 소개되며, 참여자들은 유희적으로 대안적 언어
            의 사용과 자신만의 시쓰기를 방법을 고안하는 실험을 한다. 이 워크숍은 참여자들이 
            결과물 제작 과정에서 함께 참여, 협업하고 프리젠테이션 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이러한 실험은 문학에 있어서의 과정 – 창의적인 행동이 글쓰기의 요소가 된다는 것
            을 특별히 강조하는 –글쓰기 테크닉의 선두적 사용을 강조하고, 이 시작의 결과물은 
            2차 제작물에 투입하게 된다. 따라서 언어의 코드와, 위계질서, 아카데믹한 구조에서부
            터 자유로워지고 자신만의 시쓰기 형식을기르는 실험을 한다)
            워크숍 소요시간: 1시간 30 분 소요
            언어: 한국어,영어
            진행: 페드로 라고아, 이주영

               The writing techniques used by avant-garde writers – such as Futurists, Dadaists, or Lettristes  for
               example, or William S. Burroughs’ and Bryon Gysin’s work with cut-up – will be addressed to invite
               the participants to playfully experiment with some alternative methods of using language to devise
               their own poetry. The workshop will encourage the participants to experiment with chance,
               collaboration and presentation in an effort to foreground the process as an outcome in itself.
               [These experiments in literature brought process – with a particular emphasis in the introduction of
               chance factors to the creative act – to the forefront of writing techniques, relegating the final result
               to a secondary position, thus freeing experimentation from language codes, hierarchies and academic
               structures and fostering self-empowerment]
               workshop duration: 1h30m
               languages: Korean, English
               oriented by: Pedro Lagoa, Jooyoung Lee


April 16 [sat]
______________________
6 pm : 필름 이브닝: 언어에 관해서
           film screening: on language, Gye-Joong Kim (program to be announced)
           칼아츠(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에서 영화영상학과 석사과정을 2002년에 마쳤다.
           졸업 지금까 다양한 형식의 실험적인 독립영화를 만들어오고 있으며 아울러
           울국제실험영화페스티벌 프로그머와 성결대학교 영화영상전공 교수로 활동 중이다.
              Gye-Joong Kim completed his MA in Film at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in 2002.Since then, he
              worked for the
Seoul experimental film festival as a programmer, as well as developing work on
              various forms of experimental films. He currently holds a teaching position at the Motion Picture and
              Film Department at
Seongjyul University.

April 17 [sun]
______________________
4 pm : 라운드 테이블 토론: 죽은자의 무게
         
토론: 김장언, 임경용, 조정환, 정현, 홍철기
           The (Dead) weight of The Future
           round table discussion
           with:
Jang un Kim, Lim Kyung Yong, Jeonghwan Jo, Hyun Jung, Chulki Hong

           (근대) 한국 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작가중 한 명인 이상의 기념관 프로젝트에서는
           현재 다양한 배경과 분야- 인 문, 문화, 예술 등의 초대손님들과의 토론을 준비하고
           있다. 이 라운드 테이블 토론에서는 문화 유산, 기념과 기념비에 대한 해석과 기여와
           관련해 우리가 취할 수 있는 태도는 무엇인가에 대해 이야기 할 것이다.

           협력 기획:미디어 버스
               Regard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writers in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in a moment when
               the project of a memorial house dedicated to him is undergoing preparation, guests with background
               in diverse areas of knowledge, cultural and artistic production will be invited to discuss their relation
               with Yi Sang’s work and ideas, as well as possible attitudes towards engaging with legacy,
               interpretations of memorial, monument and tribute.   

               roundtable discussion co-organized with mediabus
           [the audio will be broadcast through online streaming]

April 19 [tue]
______________________
April 20 [wed]
______________________
2 pm : 워크숍: 초현실주의 글쓰기 아틀리에/정현 #1
          
SURREALIST WRITING ATELIER #1
           workshop             
           이상에 관한 매뉴얼 북을 만들기 위한 실험적인 글쓰기 워크숍으로 이상 문학의
           시어들과 초현실주의 이미지를 믹스 & 매치해 이상을 유머와 위트로 유쾌하게
           비틀어본다 *글쓰기 아틀리에 워크숍 일정은 사정에 의해 사전 공지 없이 조정될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워크숍 
           소요시간: 2시간

           언어: 한국어

           진행: 정 현
           In association with the preparation of the book 'Yi Sang’s Lexicon' (working title) by Hyun Jung, to be
               published as part of the Conversations with Yisang project, the workshop will take an experimental
               approach to operate a juxtaposition of Yi Sang’s literary language with Surrealist images in an
               attempt to evidence the subversive wit of Yi Sang’s writings.
               workshop duration: 2h
               language: Korean
               oriented by: Hyun Jung

April 21 [thu]
______________________
8 pm :
화석화되어가는 전통
         
토크 정용하
          A TRADITION IN FOSSILIZATION
          talk by Yong Ha Jeong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엔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의 종족 음악 박사과정에 있는
          정용하의 박사 논문은 북장단 반주와 함께 솔로로 이야기를 노래하는 전통,  전혀
          우리에게 속해 있지 않든  혹은 화석화되어가는 “전통” 의 지속에만  관심이 있는 현대
          판소리의 재가공에 관한 것이다. 정용화의 토크는 일반적인 한국 전통 예술의 보존과
          관련해서 ‘원형’이라는 개념를 바탕으로  현재의 반응과 판소리가 처한 상황에서의
          전형적인 보존에 대한 도전에 관해 비평하고자 한다.

            
Ethnomusicologist Yong Ha Jeong’s Ph.D. dissertation research concerns contemporary reworkings of
             p’ansori - a solo singing storytelling tradition with a drum accompaniment - not belonging to, or
             interested in continuing fossilized “tradition”.
             The talk will focus on issues of preserv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s, in general, based on the
             concept of wonhyong, the original form, and conclude with a review of current responses and
             challenges to preserved archetypes in the p’ansori milieu.
            
language: English

April 22 [fri]
______________________
April 23 [sat]
______________________

April 24 [sun]
______________________
4 pm : 필름 이브닝: 근대 식민지기 영화,‘발굴된 과거’1930년대 조선영화 모음
          소개글: 정종화(한국 영상 자료원 영화사연구소 연구원)
          토크: 김종원(영화비평가)
          COLONIAL PERIOD FILMS, THE PAST UNEARTHED
          Collection of Chosun Films from the 1930s.
          film screening
          introduction
by Jongwha Jung 
          talk by Jongwon Kim

          본 스크리닝에서는 한국 근대영화기와 관련해 주요한 활동을 했던 김종원과 정종화,
          두 영화 관계자가 선택한 한국 근대 영화 상영과 함께 식민시대 한국영화에 대한
          토크가 이어질 것이다. 이번 토크에서는 한국영상자료원의 영화사연구소 연구원인
          정종화씨의 식민시대 조선영화 발굴 관련글과 ‘발굴된 과거: 1930년대 조선영화’DVD
          모음집(한국영상자료원 발간)을 통해 발견할 수 있는 당시 영화들의 가치와 의의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다.

              The films screened in this session are a selection by Jongwon Kim and Jongwha Jung.
              Jongwon Kim, a film critic who dedicated a significant part of his work to Korean Colonial Era film
              will deliver a talk during the session, which will be accompanied by the presentation of a text by
              Jongwha Jung, researcher associated with the Korean Film Archive, who was involved in the
              conception of the DVD collection ‘Unearthed Past: Japanese Colonial Period Films’, published by the
              Korean Film Archive.

April 26
[tue]

______________________
April 27 [wed]
______________________

April 28 [thu]
______________________
6h30 pm : 필름 이브닝: 192-399 더불어사는집 이야기
               
이현정
                감독은 직접 그녀의 필름에 관해 소개한다.
                film screening:
                192-399 A STORY ABOUT THE HOUSE LIVING TOGETHER
                a documentary by Hyunjung Lee
                     2006, color, 126 mins., Korean w/ Eng. subtitles
                     [The director will be present to introduce the session and talk about the film]
                   
                192-399 더불어 사는집 이야기
                 감독: 이현정 (Lee, Hyunjung)
                      러닝 타임: 126 min.
                      제작 연도: 2006
                 시놉시스
                 2005 10월부터 2006 2월까지, “희망을 만드는 노숙인 생산공동체 모토로
                 하는 노숙인공동체 [더불어사는집] 서울 정릉의 집을 점거해서 함께 모여
                 았다. 점거는 한국에서 빈민 최초의 점거 사례로 기록된다. 더불어사는집의
                 구들은 무료급식사업을 하는 스스로의 노력으로 사회에 되돌아가겠다는 의지와
                 희망으로 충천했다. 그리고 유난히 추위가 가혹했던 겨울을 보낸 , 더불어사는
                 면모는 상당히 바뀌게 된다.
                 연출 의도
                 노숙인 스스로 재활의 희망을 만든다는 취지로 공동체를 만들었다는 , 그리고
                 거권을 주장하며 빈집을 점거해 살기 시작했다는 것은 자체로 매우 획기적인
                 이었다. 사람에게 집이란 어떤 의미이며 사회에서 주거권이 어떻게 실현되어야
                 하는가를 질문하며 노정을 가까이서 관찰하기 시작했다. 노숙인에게 집은 삶의
                 희망의 일차적 조건이 있다. 그런데 집이 생긴 이후 시간이 흐를수록 애초의
                 질문이 달라져 갔다.
                 한국 사회에서 집을 잃는다는 것은 일을 잃고 희망을 잃고 자존감을 잃는다는
                 이다. 빈집 점거를 통해 삶의 희망을 얻고자 했던 노숙인들을 일년 동안 관찰하면서
                 인간의 존엄성은 주제가 아니라 태도임을 상기하게 된다.

                      synopsis
                      From October 2005 to February 2006, The House Living Together whose motto is "The Homeless'
                      Production Community Creating Hope", had members who occupied an empty house
to live in,
                      located in Jungrung, Seoul. It was recorded as the first time in Korea that a house was squatted
                      by the destitute.
                      Providing a free meals' service, the members of the House Living Together were in spirits with
                      determination and hope to return to the society on their own. However, after one relentlessly
                      cold winter, certain things
changed significantly in the House Living Together.
                      statement of intentions

                      To lose a house to live, in Korean society, means to lose a job, hopes and even self-respect.
                      Observing the homeless who wanted to maintain hopes by occupying an empty house over a year,
                      one is reminded that human dignity is not about any subject matter but an attitude.

April 29
[fri]

______________________
6h30 pm : 필름 이브닝: 잉여인간에 관해서, 오혜주
                SUPERFLUOUS (WO)MAN
                film screening with an introduction by Hyejoo Oh
                The Hours, dir. by Stephen Daldry
 
                color, 114 mins., Eng. w/ Korean subtitles
                영화 소개 및 진행
: 오혜주
                프리랜서 전시기획자. 대안공간풀, 여성사전시관, 아이공 등에서 일했고 여성관련,
                공공적 성격의 전시 기획을 주로 해왔다.현재는 여성, 역사, 아카이브에 관련된 신
                을 기획 중이다.

                      Hyejoo Oh is a Seoul based independent curator who developed work for institutions such as Art
                      Space Pool, Women's Exhibition Hall and I-gong (alternative visual culture factory). Her work has
                      been focusing mainly on ideas of gender and public, and she is currently working on publishing a
                      newspaper dealing with gender, history and archive related issues.
           

                잉여란  '쓸모없는''불필요한'이라는 뜻인데, 이 개념은 어떻게 보면 전복적인 의미를
                함유하고 있다.

                그렇다고 그것이 '지금은 쓸모없지만 훗날에는 돈이 되는' '창의력' '에디슨류의
                발명품' 등등으로 해석한다면
                그런 해석은 사양하고 싶다.
                내가 생각하는 '잉여인간'은 말 그대로 이 사회에서 불필요한 인간들, 이 사회를
                존속시키는데 기여하지 못하는, 아니 때려죽어도 할 수 없는 운명을 가진 사람들이다. 
                '잉여짓'이란 사회의 룰을 떠나서 자신만의 룰을 만드는 것, 그래서 위험하고
                전복적인 개념이다.
                그래서 '잉여인간'은 그 사회에서 무엇이 쓸모있고 무엇이 필요한지를 생각하게 하며,
                그 사회의 룰을 떠올리며 사회상을 그려낼 수 있게 한다.
                1920년대, 1950년대, 2000년대의 여성 3명의 하루를 보여주는 이 영화는, 사회의
                룰을 지키지 못해 밀려나는 인간들이 치루어야 하는 댓가를 보여줌으로써, 그
                사회를 보여준다.
                매우 어둡고 적나라한 결론을 갖고 있는 이 영화는 그래서 후유증이 만만치 않지만,
                지금 이 사회에서 잉여로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100퍼센트의 공감을 할 수 밖에
                없는 치명적인 매력을 갖고 있다.
April 30 [sat]
______________________